공지 | 신인상감지리(神人相感之理)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5-11 20:04 조회1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수정은
일본 유학계에도 널리 알려진
그의 부친 이병규의 유학사상
영향을 받았다.
그가 남겨놓은
신앙고백문 속에서
유학적 세계관을 만나 볼 수 있다.
조선 주자학의 천인무간(天人無間)과
이수정의 신인상감지리(神人相感之理)의
구조적 유사성과 내용의 상화성이
작품 속에서 나타난다.
Α. 도입부 : 인사말
a. 머리말
1절 僕有啓者 복유계자
2절 僕生於偏邦 복생어편방
3절 習熟寡陋 습숙과루
4절 不知文明之化 부지문명지화
b. 일본 도일과 세례
5절 近來貴邦 근래귀방
6절 仰賴聖靈之誘導 앙뢰성령지유도
7절 得蒙僉君子之厚愛 득몽첨군자지후애
8절 初領洗禮僅望大道 초영세례근망대도
9절 至於聖書所訓 지어성서소훈
10절 不能窺萬分之一 불능규만분지일
11절 不敢自謂有所見解則 불감자위유소견해즉
c. 제3회 일본전국기독연합회 참석에 관한 감사의뢰
12절 今日盛會 금일성회
13절 尤豈可妄宣瞽說哉 우기가망선고설재
14절 然心有所痒 情不能忍 연심유소양 정불능인
15절 欲質正於僉君子 욕질정어첨군
16절 乞寬恕且撥愚蒙幸甚 걸관서차발우몽행심
B. 성경의 핵심 : 신인상감리지
a. 신인상감지리
17절 按新約聖書約翰傳 第十四章 안신약성서약한전
18절 耶蘇所示日 我在父而父在我 爾在我而在爾云
야소소시일 아재부이부재아 이재아이
19절 其旨明願而厥義奥妙 及說敎之要旨 致信之關鍵 學者不可不深究
기지명원이궐의오묘 급설교지요지 치신지 관건 학자불가불심구
20절 故耶蘇最於此旨 反覆申詳 고야소최어차지 반복신상
21절 諸先生當無不了解 제선생당무불료해
22절 僕於此亦最研究 복어차역최연구
23절 兪耶蘇極力提醒 以此特待揭示 유야소극력제성 이차특대게시
24절 夫父在我我在父 我在爾爾在我 부부재아아재부 아재이이재아
25절 期神人相感之理 有信必成之確證 기신인상감지리
유신필성지확증
26절 耶蘇說譬日 我父爲圃人 我乃眞葡萄樹 야소설비일 아부위포인 아내진포도수
27절 雨爲此樹枝 여위차수지
28절 其理己捷易解 不煩穿鑿 기리기첩역해 불번천착
29절 今僕更有何辭發明乎 금복갱유하사발명호
30절 日耶蘇當時使徒親承至訓 更無餘憾 일야소당시사도친승지훈 갱무여감 → 예수께서
31절 惟至今日去聖世既 恐學者不於 義理上透徹 유지금일거성세기 공학자불어 의리상투
32절 則不能發大信 즉불능발대신
33절 盖神人相感之理 如是譬燈炷 不燃則無光
34절 燈炷是向 道心燃為信心火爲神感 등주시향
도심연위신심화위신감
35절 故神感非由信心 則不可得 고신감비유신심 즉불가득
36절 徒有炷 則不成爲燈 도유주 즉불성위등
37절 故不燃時終不見光 고불연시종불견광
38절 不信時終不得救 불신시종불득구
39절 若只領洗依 人作念 中無真信則 약지영세의 인작념 중무진신즉
40절 非惟不能為聖徒 抑且不得為人 비유불능위성도 억차불득위인
41절 如炷終不受燃 則碎棄之 여주종불수연 즉쇄기지
42절 如鹽失其味 則踐踏者同也 여염실기미 즉천답자동야
43절 神之在天 如聲之在鍾擊 신지재천 여성지재종격
44절 則膺槌有聲鍾與槌 雖貝而各懸處 즉응퇴유성종여퇴
수패이각현처
45절 共有聲乎 공유성호
46절 故燈以大炷燃則光 고등이대주연즉광
47절 大鍾以小槌叩則聲小 대종이소퇴고즉성소
48절 即多求多與 小信小成之意 즉다구다여 소신소성지의
49절 惟無不成之理 유무불성지리
50절 若信三位一體之旨 약신삼위일체지지
51절 則即信己身與三位併合爲一 즉즉신기신여삼위병합위일
52절 夫以此心至謂為神殿 부이차심지위위신전
53절 言其信心所在神亦在焉 언기신심소재신역재언
54절 神在我中一念即至間 신재아중일념즉지간
55절 不容髮不在於上下四方 불용발불재어상하사방
56절 在於爾動靜於默中 재어이동정어묵중
57절 故欲確知得求之成否 고욕확지득구지성부
58절 只自省信心之有無 지자성신심지유무
59절 莫間於師 莫求質於神 막간어사 막구질어신
60절 此是神人致感明驗也 차시신인치감명험야
61절 但不深究此義 단불심구차의
62절 而確信上天之必有我父 이확신상천지필유아부
63절 必有基督 필유기독 基督必有聖靈 기독필유성령
64절 則其得赦罪 而必至天國無疑者 즉기득사죄 이필지천국무의자
65절 以聖靈之感化 而不受魔擾 이성령지감화 이불수마요
66절 不落暗抗者 別是洪恩 불락암항자 별시홍은
67절 又不關於通理與否 우불관어통리여부
C. 불교와의 차이점
a. 불교와 비교
68절 若不燃則為佛說 약불연즉위불설
70절 佛說彼曰 不悟則不能成佛 불설피왈 불오즉불능성불
71절 盖學梯於空中 而令人超上 개학제어공중 이령인초상
D. 결론
a. 분별을 촉구
72절 故與聖敎離易迫洙 고여성교리역박주
73절 壺實即可判 호실즉가판
이수정이 써내려간 700여 한자의 핵심은
신인상감지리(神人相感之理)로 파악된다.
이 의미는
‘하나님과 사람이 서로 감응한다’라는 뜻이다.
참고문헌 : 배요한, 이수정의 신앙고백문에 대한
유교철학적 분석, 2010.
*이해를 돕기 위해 절수를 넣었다.
일본 유학계에도 널리 알려진
그의 부친 이병규의 유학사상
영향을 받았다.
그가 남겨놓은
신앙고백문 속에서
유학적 세계관을 만나 볼 수 있다.
조선 주자학의 천인무간(天人無間)과
이수정의 신인상감지리(神人相感之理)의
구조적 유사성과 내용의 상화성이
작품 속에서 나타난다.
Α. 도입부 : 인사말
a. 머리말
1절 僕有啓者 복유계자
2절 僕生於偏邦 복생어편방
3절 習熟寡陋 습숙과루
4절 不知文明之化 부지문명지화
b. 일본 도일과 세례
5절 近來貴邦 근래귀방
6절 仰賴聖靈之誘導 앙뢰성령지유도
7절 得蒙僉君子之厚愛 득몽첨군자지후애
8절 初領洗禮僅望大道 초영세례근망대도
9절 至於聖書所訓 지어성서소훈
10절 不能窺萬分之一 불능규만분지일
11절 不敢自謂有所見解則 불감자위유소견해즉
c. 제3회 일본전국기독연합회 참석에 관한 감사의뢰
12절 今日盛會 금일성회
13절 尤豈可妄宣瞽說哉 우기가망선고설재
14절 然心有所痒 情不能忍 연심유소양 정불능인
15절 欲質正於僉君子 욕질정어첨군
16절 乞寬恕且撥愚蒙幸甚 걸관서차발우몽행심
B. 성경의 핵심 : 신인상감리지
a. 신인상감지리
17절 按新約聖書約翰傳 第十四章 안신약성서약한전
18절 耶蘇所示日 我在父而父在我 爾在我而在爾云
야소소시일 아재부이부재아 이재아이
19절 其旨明願而厥義奥妙 及說敎之要旨 致信之關鍵 學者不可不深究
기지명원이궐의오묘 급설교지요지 치신지 관건 학자불가불심구
20절 故耶蘇最於此旨 反覆申詳 고야소최어차지 반복신상
21절 諸先生當無不了解 제선생당무불료해
22절 僕於此亦最研究 복어차역최연구
23절 兪耶蘇極力提醒 以此特待揭示 유야소극력제성 이차특대게시
24절 夫父在我我在父 我在爾爾在我 부부재아아재부 아재이이재아
25절 期神人相感之理 有信必成之確證 기신인상감지리
유신필성지확증
26절 耶蘇說譬日 我父爲圃人 我乃眞葡萄樹 야소설비일 아부위포인 아내진포도수
27절 雨爲此樹枝 여위차수지
28절 其理己捷易解 不煩穿鑿 기리기첩역해 불번천착
29절 今僕更有何辭發明乎 금복갱유하사발명호
30절 日耶蘇當時使徒親承至訓 更無餘憾 일야소당시사도친승지훈 갱무여감 → 예수께서
31절 惟至今日去聖世既 恐學者不於 義理上透徹 유지금일거성세기 공학자불어 의리상투
32절 則不能發大信 즉불능발대신
33절 盖神人相感之理 如是譬燈炷 不燃則無光
34절 燈炷是向 道心燃為信心火爲神感 등주시향
도심연위신심화위신감
35절 故神感非由信心 則不可得 고신감비유신심 즉불가득
36절 徒有炷 則不成爲燈 도유주 즉불성위등
37절 故不燃時終不見光 고불연시종불견광
38절 不信時終不得救 불신시종불득구
39절 若只領洗依 人作念 中無真信則 약지영세의 인작념 중무진신즉
40절 非惟不能為聖徒 抑且不得為人 비유불능위성도 억차불득위인
41절 如炷終不受燃 則碎棄之 여주종불수연 즉쇄기지
42절 如鹽失其味 則踐踏者同也 여염실기미 즉천답자동야
43절 神之在天 如聲之在鍾擊 신지재천 여성지재종격
44절 則膺槌有聲鍾與槌 雖貝而各懸處 즉응퇴유성종여퇴
수패이각현처
45절 共有聲乎 공유성호
46절 故燈以大炷燃則光 고등이대주연즉광
47절 大鍾以小槌叩則聲小 대종이소퇴고즉성소
48절 即多求多與 小信小成之意 즉다구다여 소신소성지의
49절 惟無不成之理 유무불성지리
50절 若信三位一體之旨 약신삼위일체지지
51절 則即信己身與三位併合爲一 즉즉신기신여삼위병합위일
52절 夫以此心至謂為神殿 부이차심지위위신전
53절 言其信心所在神亦在焉 언기신심소재신역재언
54절 神在我中一念即至間 신재아중일념즉지간
55절 不容髮不在於上下四方 불용발불재어상하사방
56절 在於爾動靜於默中 재어이동정어묵중
57절 故欲確知得求之成否 고욕확지득구지성부
58절 只自省信心之有無 지자성신심지유무
59절 莫間於師 莫求質於神 막간어사 막구질어신
60절 此是神人致感明驗也 차시신인치감명험야
61절 但不深究此義 단불심구차의
62절 而確信上天之必有我父 이확신상천지필유아부
63절 必有基督 필유기독 基督必有聖靈 기독필유성령
64절 則其得赦罪 而必至天國無疑者 즉기득사죄 이필지천국무의자
65절 以聖靈之感化 而不受魔擾 이성령지감화 이불수마요
66절 不落暗抗者 別是洪恩 불락암항자 별시홍은
67절 又不關於通理與否 우불관어통리여부
C. 불교와의 차이점
a. 불교와 비교
68절 若不燃則為佛說 약불연즉위불설
70절 佛說彼曰 不悟則不能成佛 불설피왈 불오즉불능성불
71절 盖學梯於空中 而令人超上 개학제어공중 이령인초상
D. 결론
a. 분별을 촉구
72절 故與聖敎離易迫洙 고여성교리역박주
73절 壺實即可判 호실즉가판
이수정이 써내려간 700여 한자의 핵심은
신인상감지리(神人相感之理)로 파악된다.
이 의미는
‘하나님과 사람이 서로 감응한다’라는 뜻이다.
참고문헌 : 배요한, 이수정의 신앙고백문에 대한
유교철학적 분석, 2010.
*이해를 돕기 위해 절수를 넣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